맨위로가기

데칸 술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칸 술탄국은 1489년부터 1687년까지 데칸 고원을 지배했던 여러 이슬람 왕조들을 통칭한다. 바흐마니 술탄국의 분열로 아흐마드나가르, 베라르, 비자푸르 술탄국이 독립하였고, 이후 골콘다와 비다르 술탄국이 추가되어 총 다섯 개의 술탄국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서로 경쟁하며 비자야나가르 제국과 대립하였으나, 1565년 탈리코타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후 무굴 제국의 침략으로 아흐마드나가르가 멸망하고, 데칸 전쟁을 거쳐 1686년 비자푸르, 1687년 골콘다 술탄국이 멸망하면서 데칸 술탄국의 시대는 종말을 맞이했다. 데칸 술탄국은 건축, 예술,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적 기여를 했으며, 각 술탄국은 독특한 건축 양식을 발전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칸 술탄국 - 비자푸르 술탄국
    비자푸르 술탄국은 1490년 유수프 아딜 샤가 바흐마니 술탄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건국된 이슬람 왕국으로, 비자야나가라 제국과의 갈등, 탈리코타 전투 승리, 이브라힘 아딜 샤 2세 시대의 최전성기를 거쳐 무굴 제국과의 관계 속 쇠퇴 후 1686년 멸망했으며, 이슬람 건축 발달로 이브라힘 로자와 골굼바즈 등의 건축물을 남겼다.
  • 카르나타카주의 중세사 - 바흐마니 술탄국
    바흐마니 술탄국은 1347년 알라 웃딘 바흐만 샤가 델리 술탄국에 반기를 들고 데칸 고원에 세운 이슬람 왕국으로, 굴바르가를 수도로 남인도의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항쟁하며 번성했으나 내부 분열로 5개 술탄국으로 분열되어 1527년 멸망했다.
  • 카르나타카주의 중세사 - 호이살라
    호이살라는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 카르나타카 지역에서 번성한 남인도 왕조로, 서찰루키아 왕조의 봉신에서 독립하여 촐라 제국을 몰아냈으며, 정교한 사원 건축과 예술 후원으로 유명하고 벨루르, 할레비두, 소마나타푸라의 사원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텔랑가나주의 역사 - 카카티야 왕조
    카카티야 왕조는 800년경 텔루구계 부족에 의해 건국되어 서찰루키아의 속국에서 독립, 델리 술탄국의 침략으로 1323년에 멸망했으며 예술과 문학을 장려하고 농업 발전에 기여했다.
  • 텔랑가나주의 역사 - 골콘다
    골콘다는 인도 남부 데칸 고원에 위치한 요새 도시로, 과거 다이아몬드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유명 다이아몬드 산지이자 쿠투브 샤히 왕조의 수도로서 번성했고 현재는 폐허가 되었으나 역사 유적으로 보존되고 있다.
데칸 술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데칸 술탄국
현지 명칭데칸 술탄국 (데칸)
존속 기간1490년 ~ 1686년
지도
데칸 술탄국들과 비자야나가라 제국, 1490년 - 1687년
데칸 술탄국들의 강역
위치
위치데칸고원
수도
수도아마드나가르
비다르
비자푸르
엘리치푸르
골콘다
하이데라바드
정치
정치 체제전제군주제
언어 및 종교
공용어페르시아어
종교이슬람교
역사
이전 국가바흐마니 술탄국
이후 국가무굴 제국
마라타 제국

2. 역사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은 말리크 아흐마드 니잠 샤 1세에 의해 건국되었다. 그는 니잠 울 물크 말리크 하산 바흐리의 아들로, 원래 비자야나가라 출신의 힌두교 브라만이었으나 이슬람으로 개종한 군사 노예였다.[9] 그는 마흐무드 가완을 처형하도록 조작한 후 무하마드 샤 바흐마니의 섭정이 되었다.[12][13] 니잠 울 물크 바흐리가 살해된 후, 그의 아들 아흐마드 니잠 샤는 1490년 5월 28일 독립을 선언하고 아흐마드나가르에 왕조를 세웠다.[16] 초기 수도는 주나르였으며, 1494년 아흐마드나가르가 새로운 수도로 건설되었다. 1499년 다울라타바드 요새를 확보했으며, 1510년 말리크 아흐메드 샤 사후 그의 아들 부르한이 왕위를 이었다. 1538년 부르한 샤 1세는 시아파 이슬람을 국교로 정했다.[9]

1565년 후세인 샤 1세 사후 무르타자가 즉위하였고, 그의 어머니 칸자다 후마윤 술타나가 섭정을 하였다. 무르타자 샤는 1574년 베라르를 병합했다. 1588년 무르타자 샤 사후 미란 후세인이 즉위하였으나, 그는 독살당하면서 10개월 남짓 통치했다. 미란 후세인의 사촌인 이스마일이 왕위에 올랐지만, 실제 권력은 궁정의 데칸 세력의 지도자인 자말 칸의 손에 있었다. 그는 아흐마드나가르에서 외국 귀족들을 대량 학살했다.[17][18] 1591년 자말 칸은 로한케드 전투에서 사망했고, 이스마일 샤도 그의 아버지 부르한에게 붙잡혀 감금되었고, 부르한 샤 2세로 왕위에 올랐다. 그는 시아파 이슬람을 국교로 복원했다. 부르한 샤의 사망 후, 그의 맏아들 이브라힘이 왕위에 올랐다. 이브라힘 샤는 비자푸르 술탄국과의 전투에서 몇 달 만에 사망했다. 곧 찬드 비비는 이브라힘 샤의 숙모로서 바하두르, 이브라힘 샤의 어린 아들을 정당한 술탄으로 선포했고, 그녀가 섭정이 되었다. 1596년, 무라드가 이끄는 무굴 제국의 공격은 찬드 비비에 의해 격퇴되었다.

1600년 7월 찬드 비비 사망 후, 아흐마드나가르는 무굴 제국에 정복되었으나, 말리크 암바르가 무르타자 샤 2세를 1600년 새로운 수도 파란다에서 술탄으로 선포하고 저항했다. 말리크 암바르 사후, 그의 아들 파트 칸은 1633년 무굴 제국에 항복했다. 샤하지는 비자푸르의 지원을 받아 니잠 샤히 왕조의 어린 후예 무르타자를 왕위에 앉혔지만, 섭정으로 활동했다. 1636년, 데칸의 무굴 부왕 아우랑제브는 샤하지를 격파한 후, 마침내 술탄국을 무굴 제국에 병합했다.

베라르 술탄국은 파트훌라 이마드 울 물크에 의해 건국되었다.[12] 그는 1490년 베라르의 총독으로서 독립을 선언하고 베라르 술탄국의 이마드 샤히 왕조를 창건했다. 수도는 아찰푸르 (엘리치푸르)였다. 1504년 이마드 울 물크 사후 알라 앗 딘이 계승했다. 1528년, 알라 앗 딘은 구자라트의 술탄 바하두르 샤의 도움을 받아 아흐마드나가르의 침략에 저항했다. 이후 베라르의 통치자 다리야는 아흐마드나가르의 침략을 막기 위해 비자푸르와 동맹을 맺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1562년 다리야 사후, 그의 아들 부르한이 계승했지만, 부르한 통치 초기에 그의 대신 중 한 명인 투팔 칸이 왕위를 찬탈했다. 1474년, 아흐마드나가르의 술탄 무르타자 1세는 베라르를 자신의 술탄국에 병합했다.

비다르 술탄국은 카심 바리드 1세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그는 바흐마니 통치자 마흐무드 샤 바흐마니의 신하로 들어가 1492년 바흐마니 술탄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1528년, 마지막 바흐마니 통치자 칼리물라가 비다르에서 탈출하면서, 아미르 바리드는 사실상 독립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1619년 비다르 술탄국의 마지막 통치자 아미르 바리드 샤 3세는 패배했으며, 술탄국은 비자푸르 술탄국에 병합되었다.

비자푸르 술탄국은 1490년부터 1686년까지 아딜 샤히 왕조가 통치했다. 이 왕조의 창시자인 유수프 아딜 샤는 바흐마니 술탄국의 지방 총독이었으며, 1490년에 사실상 독립을 달성했다. 1510년,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 원정대가 아딜 샤히의 고아 항구를 고아 정복(Portuguese conquest of Goa)하는 데 성공했다. 이브라힘 아딜 샤 1세는 수니파 이슬람(Sunni Islam)으로 강력하게 개종했다.[23] 그는 수니파 무슬림을 권력에 참여시키고 시아파를 해임함으로써 지배를 종식시켰다.[27][28] 1619년, 아딜 샤히는 인접한 비다르 술탄국을 정복하여 자국에 병합했다. 17세기 후반, 마라타시바지의 지도력 아래 성공적으로 반란을 일으켜 술탄국의 주요 지역과 수도 비자푸르를 점령했다. 약화된 술탄국은 1686년 아우랑제브에 의해 비자푸르가 함락되면서 정복되었다.

골콘다 술탄국 왕조의 창시자인 술탄 쿨리 쿠틉-울-물크는 16세기 초에 바흐마니 술탄 무함마드 샤 1세를 섬겼다. 1518년 바흐마니 술탄국이 해체된 후 골콘다를 정복하고 텔랑가나 지역의 총독이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독립을 선언하고 '쿠틉 샤'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왕조는 175년 동안 통치했으며, 1687년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의 군대가 골콘다를 포위하고 정복할 때까지 존속했다.

2. 1. 바흐마니 술탄국의 쇠퇴와 분열 (14세기 말 ~ 16세기 초)

1489년, 데칸 고원을 지배하던 바흐마니 술탄국에서 세 명의 지방 총독이 독립하여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 베라르 술탄국, 비자푸르 술탄국이 성립되었다.[36]

1518년, 텔랑가나 지방의 총독이었던 술탄 쿨리 쿠투브 알 물크는 골콘다 술탄국을 건국했다.[36][37]

1527년, 바흐마니 술탄국의 왕통이 끊어지자, 재상은 수도 비다르를 중심으로 비다르 술탄국을 성립시켰다.[36] 이로써 바흐마니 술탄국은 다섯 개의 왕조로 분열되었다.

2. 2. 데칸 술탄국의 경쟁과 협력 (16세기 ~ 17세기)

다섯 개의 데칸 술탄국은 서로 경쟁하며 세력 확장을 꾀했다. 남쪽의 비자야나가라 제국과도 대립하였는데, 1565년 탈리코타 전투에서 연합군을 결성하여 비자야나가라 제국을 격파하고 수도를 함락시켰다.[36] 그러나 이후 다시 내분이 발생하여, 1574년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이 베라르 술탄국을 멸망시켰고,[36] 1619년 비자푸르 술탄국이 비다르 술탄국을 멸망시켰다.

2. 3. 무굴 제국의 남하와 멸망 (17세기)

북쪽의 무굴 제국이 데칸 고원으로 진출하여, 1600년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의 수도 아흐마드나가르를 점령했고, 1633년(혹은 1636년)에는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을 멸망시켰다.[36]

1681년 아우랑제브가 군대를 이끌고 남하하여 데칸 전쟁이 시작되자, 1686년 비자푸르 술탄국이 멸망했고, 1687년에는 골콘다 술탄국이 멸망하여 데칸 술탄국은 모두 멸망했다.[36]

3. 각 술탄국

바흐마니 술탄국이 쇠퇴하면서 독립한 다섯 개의 주요 술탄국은 각각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 (1490-1636):''' 말리크 아흐마드 니잠 샤 1세가 건국했으며, 시아파 이슬람을 국교로 삼았다가 수니파 이슬람으로 복귀하는 등 종교적 변화를 겪었다. 찬드 비비의 섭정 기간 동안 무굴 제국의 공격을 막아냈으나, 결국 1636년 무굴 제국에 병합되었다.
  • '''베라르 술탄국 (1490-1574):''' 파트훌라 이마드 울 물크가 건국했으며, 수도는 아찰푸르(엘리치푸르)였다. 1574년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에 병합되었다.
  • '''비다르 술탄국 (1527-1619):''' 카심 바리드 1세가 건국했으며, 바흐마니 술탄국의 수도였던 비다르를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1619년 비자푸르 술탄국에 병합되었다.
  • '''비자푸르 술탄국 (1490-1686):''' 유수프 아딜 샤가 건국했으며, 인도 남서부의 서부 가트 산맥 지역을 통치했다. 이브라힘 아딜 샤 1세는 수니파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데칸인 정체성을 강화했다. 1686년 아우랑제브에 의해 멸망했다.
  • '''골콘다 술탄국 (1518-1687):''' 술탄 쿨리 쿠트브 물크가 건국했으며, 1687년 무굴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각 술탄국의 자세한 역사는 해당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3. 1.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 (1490-1636)

말리크 아흐마드 니잠 샤 1세는 니잠 울 물크 말리크 하산 바흐리의 아들로, 1490년 5월 28일 자항기르 칸이 이끄는 바흐마니 군대를 격파하고 독립을 선언하여 아흐마드나가르에 왕조를 세웠다.[16] 초기 수도는 주나르였으나, 1494년 새로운 수도인 아흐마드나가르의 기초를 놓았다. 1499년에는 다울라타바드 요새를 확보했다.

1510년 말리크 아흐마드 샤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부르한 니잠 샤 1세가 왕위를 이었다. 그는 1538년 시아파를 국교로 정했으나, 이후 부르한 니잠 샤 2세는 시아파 이슬람을 국교로 복원했다.

1565년 후세인 니잠 샤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무르타자가 왕위에 올랐고, 1574년 베라르를 병합했다. 1588년 무르타자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미란 후세인이 왕위에 올랐으나 독살당했다. 이후 왕위는 이스마일에게 넘어갔지만, 실제 권력은 자말 칸의 손에 있었다. 자말 칸은 마흐다비 종교를 국가에 강요했고, 1591년 로한케드 전투에서 사망했다.

찬드 비비는 바하두르를 정당한 술탄으로 선포하고 섭정이 되어 1596년 무라드가 이끄는 무굴 제국의 공격을 격퇴했다. 그러나 1600년 찬드 비비 사후 아흐마드나가르는 무굴 제국에 정복되었고, 바하두르 샤는 투옥되었다.

말리크 암바르는 무르타자 샤 2세를 1600년 새로운 수도 파란다에서 술탄으로 선포하고 저항했다. 이후 수도는 주나르를 거쳐 아우랑가바드로 옮겨졌다. 1633년 말리크 암바르의 아들 파트 칸이 무굴 제국에 항복하면서 후세인 샤가 괄리오르 요새에 유폐되었다. 샤하지가 마지막 저항을 시도했으나, 1636년 데칸의 무굴 부왕 아우랑제브에게 격파당하고 술탄국은 무굴 제국에 병합되었다.

역대 술탄은 다음과 같다.

술탄재위 기간
말리크 아흐마드 니잠 샤 1세1490년 ~ 1510년
부르한 니잠 샤 1세1510년 ~ 1553년
후세인 니잠 샤 1세1553년 ~ 1565년
무르타자 니잠 샤 1세1565년 ~ 1588년
후세인 니잠 샤 2세1588년 ~ 1589년
이스마일 니잠 샤1589년 ~ 1591년
부르한 니잠 샤 2세1591년 ~ 1595년
바하두르 니잠 샤1595년 ~ 1600년
무르타자 니잠 샤 2세1600년 ~ 1610년
부르한 니잠 샤 3세1610년 ~ 1631년
후세인 니잠 샤 3세1631년 ~ 1633년
무르타자 니잠 샤 3세1633년 ~ 1636년


3. 2. 베라르 술탄국 (1490-1574)

칸나다 출신의 힌두교도였으나, 바흐마니 군에 의해 소년 시절에 붙잡혀 무슬림으로 길러진 파트훌라 이마드 울 물크가 베라르 술탄국을 건국했다.[12] 1490년, 바흐마니 술탄국의 붕괴 동안, 당시 베라르의 총독이었던 이마드 울 물크는 독립을 선언하고 베라르 술탄국의 이마드 샤히 왕조를 창건했다. 그는 수도를 아찰푸르(엘리치푸르)에 정했으며, 가빌가르와 나르날라도 그에 의해 요새화되었다.

1504년 이마드 울 물크가 사망한 후 장남 알라 앗 딘이 계승했다. 1528년, 알라 앗 딘은 구자라트의 술탄 바하두르 샤의 도움을 받아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의 침략에 저항했다. 다음 베라르의 통치자 다리야는 아흐마드나가르의 침략을 막기 위해 비자푸르와 동맹을 맺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그는 세 차례에 걸쳐 아흐메드나가르를 도와 비자푸르에 대항했다. 1562년 그의 사후, 어린 아들 부르한이 계승했지만, 부르한 통치 초기에 그의 대신 중 한 명인 투팔 칸이 왕위를 찬탈했다. 1574년, 아흐마드나가르의 술탄 무르타자 1세는 베라르를 자신의 술탄국에 병합했다. 부르한, 투팔 칸, 그리고 투팔의 아들 샴시르 울 물크는 아흐마드나가르로 끌려가 요새에 감금되었고, 그곳에서 모두 사망했다.

베라르 술탄국의 역대 술탄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위 기간
파트훌라 이마드 울 물크1490년 ~ 1504년
알라딘 이마드 샤1504년 ~ 1530년
다리아 이마드 샤1530년 ~ 1562년
부르한 이마드 샤1562년 ~ 1574년
투팔 칸 (찬탈자)1562년 이후 ~ 1574년



아찰푸르에서 서쪽으로 3km 떨어진 곳에 있는 하우즈 카토라(Hauz Katora)의 폐허가 된 궁전은 유일하게 남아있는 주목할 만한 이마드 샤히(Imad Shahi) 양식의 건축물이다.

3. 3. 비다르 술탄국 (1527-1619)

카심 바리드 1세가 건국하였으며, 바흐마니 술탄국의 수도였던 비다르를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카심 바리드 1세는 조지아인으로 터키인에게 노예로 팔렸으나, 바흐마니 통치자 마흐무드 샤 바흐마니(재위 1482-1518)의 신하가 되어 '사르-나우바트'(사령관)를 거쳐 바흐마니 술탄국의 '미르-줌라'(총독)가 되었다.[38] 1492년, 그는 바흐마니 술탄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지만, 술탄 마흐무드 샤 바흐마니는 명목상의 통치자로 남아 있었다.

1504년 마흐무드 샤 바흐마니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아미르 바리드가 바흐마니 술탄국의 행정을 장악했다. 1528년, 마지막 바흐마니 통치자 칼리물라가 비다르에서 탈출하면서, 아미르 바리드는 사실상 독립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아미르 바리드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알리 바리드가 왕위를 계승했으며, 그는 '샤'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알리 바리드는 탈리코타 전투에 참여했으며 시와 서예를 좋아했다.

1619년, 비다르 술탄국의 마지막 통치자 아미르 바리드 샤 3세가 패배하면서 술탄국은 비자푸르 술탄국에 병합되었다.[39]

비다르 술탄국의 역대 술탄은 다음과 같다.

술탄
카심 바리드 1세 (1492–1504)
아미르 바리드 1세 (1504–1542)
알리 바리드 샤 1세 (1542–1580)
이브라힘 바리드 샤 (1580–1587)
카심 바리드 샤 2세 (1587–1591)
알리 바리드 샤 2세 (1591)
아미르 바리드 샤 2세 (1591–1600)
미르자 알리 바리드 샤 3세 (1600–1609)
아미르 바리드 샤 3세 (1609–1619)[40]


3. 4. 비자푸르 술탄국 (1490-1686)

이브라힘 아딜 샤 2세


인도 남서부, 남부 마하라슈트라와 북부 카르나타카의 서부 가트 산맥에 걸쳐 있던 비자푸르 술탄국은 1490년부터 1686년까지 아딜 샤히 왕조가 통치했다. 이 왕조의 창시자인 유수프 아딜 샤는 마흐무드 가완에게 구매된 조지아 노예였을 수 있다.[19] 다른 역사가들은 그가 페르시아인[20] 또는 투르크멘인[21][22] 출신이라고 언급했다. 유수프는 원래 바흐마니 술탄국의 지방 총독이었으며, 1490년에 사실상 독립했다. 1510년,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 원정대가 아딜 샤히의 고아 항구를 고아 정복(Portuguese conquest of Goa)하는 데 성공했다. 유수프의 아들 이스마일 아딜 샤와 그의 후계자들은 비자푸르의 수도를 수많은 기념물로 장식했다.

이브라힘 아딜 샤 1세는 데칸인 정체성으로 전환하여, 데칸 무슬림의 종교인 수니파로 강력하게 개종했다.[23] 그는 전임자의 전통에서 벗어나 정치 및 종교 정책에 많은 혁신을 도입하여 이전의 시아파 관행을 중단하고 수니파 관행을 회복했다.[24][25][26] 그는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아파키(외국) 파벌을 격하시키고 그 자리에 데칸 무슬림을 등용했다. 그 결과 그는 수니파 무슬림을 권력에 참여시키고 시아파를 해임함으로써 지배를 종식시켰다.[27][28]

아딜 샤히 왕조는 남쪽에 위치한 퉁가바드라강 건너편의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싸웠지만, 다른 데칸 술탄국과도 싸웠다. 다섯 술탄국 중 넷이 연합하여 1565년 탈리코타 전투에서 비자야나가라 제국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 전투 후 제국이 붕괴되었고, 비자푸르는 라이추르도아브를 장악했다. 1619년, 아딜 샤히 왕조는 인접한 비다르 술탄국을 정복하여 자국에 병합했다.

17세기 후반, 마라타 제국시바지의 지도력 아래 성공적으로 반란을 일으켜 술탄국의 주요 지역과 수도 비자푸르를 점령했다. 약화된 술탄국은 1686년 아우랑제브에 의해 비자푸르가 함락되면서 정복되었고, 이 왕조는 멸망했다.

비자푸르 술탄국의 역대 술탄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위 기간
유수프 아딜 샤1490년 ~ 1510년
이스마일 아딜 샤1510년 ~ 1534년
말루 아딜 샤1534년 ~ 1535년
이브라힘 아딜 샤 1세1535년 ~ 1558년
알리 아딜 샤 1세1558년 ~ 1580년
이브라힘 아딜 샤 2세1580년 ~ 1627년
무함마드 아딜 샤1627년 ~ 1656년
알리 아딜 샤 2세1656년 ~ 1672년
시칸다르 아딜 샤1672년 ~ 1686년


3. 5. 골콘다 술탄국 (1518-1687)

골콘다 술탄국의 마지막 통치자인 아불 하산 쿠틉 샤의 그림


왕조의 창시자인 술탄 쿨리 쿠틉-울-물크는 16세기 초에 친척 및 친구들과 함께 페르시아에서 델리로 이주했다. 이후 데칸으로 이주하여 바흐마니 술탄 무함마드 샤 1세를 섬겼다. 1518년 바흐마니 술탄국이 해체된 후 골콘다를 정복하고 텔랑가나 지역의 총독이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독립을 선언하고 '쿠틉 샤'라는 칭호를 사용했다.[36][37]

왕조는 175년 동안 통치했으며, 1687년 무굴 제국 황제 아우랑제브의 군대가 골콘다를 포위하고 정복할 때까지 존속했다.

골콘다 술탄국의 역대 술탄은 다음과 같다.

이름
술탄 쿨리 쿠트브-울-물크 (1512–1543)
잠셰드 쿨리 쿠트브 샤 (1543–1550)
수반 쿨리 쿠트브 샤 (1550)
이브라힘 쿨리 쿠투브 샤 (1550–1580)
무함마드 쿨리 쿠트브 샤 (1580–1611)
술탄 무함마드 쿠트브 샤 (1611–1626)
압둘라 쿠트브 샤 (1626–1672)
아불 하산 쿠트브 샤 (1672–1687)


4. 문화

데칸 술탄국은 문학, 예술, 건축,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다.

다카니어는 바흐마니 술탄국 시대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여, 아랍어, 페르시아어, 마라티어, 칸나다어, 텔루구어의 영향을 받으며 독자적인 구어 및 문학 언어로 성장했다. 이는 훗날 북인도의 우르두어와 구별되는 다카니 우르두어로 불리게 되었다.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 비자푸르 술탄국, 골콘다 술탄국 등 데칸 지역의 여러 궁정에서는 미니어처 회화가 발달하여 독특한 화풍을 형성했다.[30]

차르미나르, 골굼바즈 등 이 시대에 건설된 건축물들은 데칸 술탄국의 뛰어난 건축 기술을 보여준다. 이 중 많은 수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등재를 위한 잠정 목록에 올라 있으며,[31] 니잠 샤히, 아딜 샤히, 쿠트브 샤히 왕조의 종교적 관용 정책 또한 주목할 만하다.

4. 1. 언어와 문학

다카니는 바흐마니 술탄국 통치 시기에 발전하기 시작하여 아랍어, 페르시아어, 마라티어, 칸나다어, 텔루구어에서 지속적으로 단어를 빌려 쓰면서, 이 시기에 독립적인 구어 및 문학 언어로 발전하였다. 다카니는 나중에 북인도 우르두어와 구별하기 위해 다카니 우르두어로 알려지게 되었다.[30]

4. 2. 예술

데칸 술탄국의 통치자들은 문학, 예술, 건축, 음악 분야에 많은 기여를 했다. 특히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 비자푸르 술탄국, 골콘다 술탄국 궁정에서 번성했던 데카니 미니어처 회화는 데칸 술탄국의 주요 문화적 기여 중 하나이다.[30]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의 니잠 샤히 통치자들은 소형 회화를 열정적으로 후원했다.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회화는 필사본 ''타리프-i-후사인 샤히''(c. 1565)의 삽화이다. 무르타자 니잠 샤의 소형 회화(c. 1575)는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비자푸르 술탄국의 이브라힘 아딜 샤 2세는 회화의 후원자로 알려져 있다. 골콘다 술탄국의 마지막 통치자인 아불 하산 쿠틉 샤의 그림도 전해진다.

이처럼 데칸 지역에서는 여러 술탄국 궁정의 후원 아래 미니어처 회화가 발달하여 독특한 화풍을 형성했다. 이들 작품은 페르시아 등 외부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데칸 지역만의 특색을 보여준다.

4. 3. 건축

데칸 술탄국의 통치자들은 문학, 예술, 건축, 음악 분야에서 많은 문화적 기여를 했다. 특히 건축 분야에서 두드러진 발전을 이루었는데, 각 술탄국은 수도를 중심으로 독특한 양식의 건축물들을 건설했다.

술탄국주요 건축물
아흐메드나가르 술탄국
비자푸르 술탄국
골콘다 술탄국



이 외에도 데칸 술탄국이 건설한 많은 기념물들이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한 잠정 목록에 올라 있다.[31]

5. 종교

데칸 술탄국의 통치자들은 이슬람교를 믿었으며, 수니파시아파 간의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비자푸르 술탄국의 이브라힘 아딜 샤 1세는 수니파 이슬람(Sunni Islam)으로 강력하게 개종하고, 이전의 시아파 관행을 중단했다.[23][24][25][26]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에서는 시아파 이슬람을 국교로 정했다가 다시 복원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16]

쿠틉 샤히 통치자들은 힌두교도를 중요한 행정 직책에 임명하는 등 종교적인 관용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34] 이브라힘 쿨리 쿠트브 샤는 무라리 라오를 '페슈와'(재상)로 임명했는데, 이는 '미르 줌라'(재상) 다음가는 직위였다.

수피즘이 널리 퍼져, 많은 수피 성자들이 데칸 지역에서 활동했다.

6. 추가 읽기


  • R.M. 초프라, ''인도-페르시아 문학의 흥망성쇠'', 2012, 이란 문화원, 뉴델리. 2013년 개정판 출간.
  • R.C. 마줌다르, ''델리 술탄국'', 2006, 바라티야 비디야 바반, 뭄바이.
  • R.C. 마줌다르, ''무굴 제국'', 2007, 바라티야 비디야 바반, 뭄바이.
  • 조지 미첼, 마크 제브로스키, ''데칸 술탄국의 건축과 예술 (케임브리지 인도사 신판 Vol. I:7)'', 1999,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케임브리지, ISBN 0-521-56321-6.
  • 레하만 파텔, ''북카르나타카의 이슬람 예술, 예술과 건축'', 2015년 5월.
  • 푸쉬카르 소호니, ''데칸 술탄국의 건축: 중세 후기 인도의 궁정 관행과 왕권'', 2018, I.B.Tauris, 런던.
  • 굴람 야즈다니, ''비다르, 그 역사와 기념물'', 1947,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참조

[1] 서적 Sultans of Deccan India, 1500–1700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5
[2] 간행물 Golconda, history https://referencewor[...] 2016
[3] 서적 Ancient India and South Indian History & Culture https://books.google[...] Oriental Book Agency 1951
[4] 서적 Historic Landmarks of the Deccan https://books.google[...] Pioneer Press 0101
[5] 서적 Karnataka, History, Administration & Culture https://books.google[...] Lotus Printers 2021-04-25
[6] 논문 The Qara-qoyunlu and the Qutb-shāhs (Turkmenica, 10)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20
[7] 서적 Mohammad Quli Qutb Shah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2020-11-20
[8] 뉴스 500 years of Deccan history fading away due to neglect https://timesofindia[...] 2018-12-27
[9] 서적 The African Dispersal in the Deccan https://books.google[...] Orient Longman 1996
[10] 서적 Local States in an Imperial World: Identity, Society and Politics in the Early Modern Deccan https://books.google[...] 2020
[11] 서적 Iran and the Deccan: Persianate Art, Culture, and Talent in Circulation, 1400–1700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0-06-02
[12] 서적 History of the Rise of the Mahometan Power in India, till the year A.D. 1612 Longman, Rees, Orme, Brown and Green 1829
[13] 서적 The Kingdom of Ahmadnagar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66
[14] 서적 History: Mediaeval period https://books.google[...] 1967
[15] 서적 History of South India: Medieval period https://books.google[...] 1979
[16] 서적 Sultans of Deccan India, 1500-1700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5
[17] 서적 The Courts of the Deccan Sultana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18] 서적 Writing the Mughal World https://books.google[...] 2012
[19] 서적 Courtly Encounters: Translating Courtliness and Violence in Early Modern Eur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Volume 1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21] 서적 A History of the Muslim World since 1260: The Making of a Global Commun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22] 서적 Historic Cities of the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007
[23] 서적 Sultans of Deccan India, 1500–1700: Opulence and Fantasy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5-04-13
[24] 서적 The African Dispersal in the Deccan: From Medieval to Modern Times Orient Blackswan 1996-01-01
[25] 서적 Three Ways to be Alien: Travails and Encounters in the Early Modern World UPNE 2011
[26] 서적 A Social History of the Deccan, 1300-1761: Eight Indian Lives,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11-17
[27]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From 1000 A.D. to 1707 A.D. Atlantic Publishers & Dist 2002-01-01
[28] 서적 The African Diaspora in the Indian Ocean Africa World Press 2003
[29] 웹사이트 The Qutb Shahi Monuments of Hyderabad Golconda Fort, Qutb Shahi Tombs, Charminar https://whc.unesco.o[...] 2018-09-28
[30] 웹사이트 Deccani painting https://www.britanni[...] 2019-01-27
[31] 웹사이트 Monuments and Forts of the Deccan Sultanate https://whc.unesco.o[...]
[32] Ph.D. thesis Local Idioms and Global Designs: Architecture of the Nizam Shahs http://dissertationr[...]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4-05-31
[33] 서적 The Cultural Heritage of India The Ramakrishna Mission Institute of Culture
[34] 뉴스 Long long ago when faith moved a king https://www.thehindu[...] 2019-01-27
[35] 웹사이트 Lazzat-Un-Nisa: Hyderabad's own Kamasutra back in focus https://timesofindia[...] 2019-01-05
[36] 서적 The Delhi Sultanate Bharatiya Vidya Bhavan 2006
[37] 서적 The Mughul Empire Bharatiya Vidya Bhavan 2007
[38] 서적 The Architecture of a Deccan Sultanate: Courtly Practice and Royal Authority in Late Medieval India I.B. Tauris 2018
[39] 서적 The Delhi Sultanate https://archive.org/[...] Bharatiya Vidya Bhavan 2006
[40]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41] 서적 Sultans of Deccan India, 1500–1700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5
[42] 서적 Ancient India and South Indian History & Culture https://books.google[...] Oriental Book Agency 1951
[43] 서적 Historic Landmarks of the Deccan https://books.google[...] Pioneer Press 0101
[44] 서적 History of the Rise of the Mahometan Power in India, till the year A.D. 1612 Longman, Rees, Orme, Brown and Green 1829
[45]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46] 서적 Karnataka, History, Administration & Culture https://books.google[...] Lotus Printers 2021-04-25
[47]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Medieval India: Twelf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2022-05-17
[48] 서적 The Architecture of a Deccan Sultanate 2018
[49] 뉴스 500 years of Deccan history fading away due to neglect https://timesofindia[...] 2018-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